티스토리 뷰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야 범인을 특정하고 진범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범죄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중 단연 top입니다. 첫 장면부터 마지막 장면까지 적재적소에 맞는 그림들을 채워 넣은 영화. 오늘은 영화 <살인의 추억> 줄거리와 정보를 살펴보고 감상평을 남기겠습니다.
줄거리
1986년 경기도 화성 일대에서 여성들이 잇달아 강간 살해당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사건 발생지역에 특별수사본부가 설치되고 지역 토박이 박두만 형사(송강호), 서울에서 파견된 서태윤 형사(김상경)가 팀을 이뤄 수사에 착수합니다. 감각으로 수사하는 박두만 형사와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수사를 지향하는 서태윤 형사는 사사건건 부딪칩니다. 정신지체인 백광호(박노식)가 두 번째 희생자인 이향숙을 평소 쫓아다녔다는 제보를 받고 그를 잡아들이지만 물증이 없어 풀려납니다. 피해자 사망 장소에서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다 잡힌 광부 조병순(류태호). 형사들이 협박하고 폭행해 거짓 자백을 하지만 그가 취조실에 있을 때 다음 살인사건이 일어나 혐의를 벗고 풀려납니다. 피해자가 발생하는 날마다 라디오 음악방송에 특정 음악을 틀어달라 신청한 공장 노동자 박현규(박해일). 그가 이사 온 이후부터 사건이 발생했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피해자가 '범인은 손이 부드럽다'는 증언을 했기 때문에 유력한 용의자로 의심을 받습니다. 하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는 상황. 백광호가 용의자가 아닌 목격자라는 것을 알게 된 박두만 형사와 서태윤 형사는 백광호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고깃집으로 달려가고 진술을 종용하는 두 형사에 당황한 백광호는 도주하다 기차에 치어 사망합니다. 박현규는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나고 수사는 다시 난항에 빠집니다. 과연 범인을 잡을 수 있을지, 박현규는 정말 범인이 아닐지 영화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보
영화 <살인의 추억>은 2003년 4월에 개봉한 범죄, 드라마, 미스터리 장르 영화입니다. 개봉 당시 미제사건이었던 화성 연쇄살인사건을 소재로 하였습니다. 김광림의 연극 <날 보러 와요>가 원작입니다. <플란다스의 개(2000)> <괴물(2006)> <마더(2009)> <설국열차(2013)> <옥자(2017)> <기생충(2019)> 등 세계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은 봉준호 감독의 작품입니다. 송강호, 김상경, 김뢰하, 송재호, 변희봉, 박노식, 박해일, 전미선 등이 출연합니다. 525만 명의 관객이 영화를 보았으며 9점 대의 매우 높은 평점을 받았습니다. 관객들은 연기와 스토리 부분에 높은 점수를 주었습니다. 치밀한 구성과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받았습니다. 1회 대한민국 대학 영화제 올해의 제작자상, 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최고의 작품상, 최고의 감독상, 51회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은조개상, 신인감독상, FIPRESCI상, 11회 춘사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촬영상, 편집상, 춘사대상, 24회 청룡영화상 촬영상,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촬영상, 편집상, 각본각색상, 4회 부산평론가협회상 감독상, 각본상, 40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조명상, 16회 도쿄국제영화제 아시아영화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왓챠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감상평
봉준호 감독의 연출과 배우들의 찰진 대사로 곳곳에 웃음 요소가 있습니다. 사건 현장 검증을 나온 박두만 형사가 현장이 어수선한 것을 보고 구시렁거리다 논두렁 비탈에서 미끄러지는데 그것을 시작으로 여기저기서 웃음이 터집니다. 감각으로 승부하는 박두만 형사와 객관적 자료로 승부하는 서태윤 형사의 기질은 상반되지만 범인을 잡겠다는 간절함은 결국 그들을 하나로 만듭니다. 영화의 큰 수혜자는 용의자 박현규 역의 박해일입니다. 선인지 악인지 알 수 없는 소년 같은 얼굴로 관객들마저 헷갈리게 만드는 그의 마스크와 연기는 인상적입니다. 용의자들에게 의외성을 부여해 극을 더 흥미롭게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 용의자는 신스틸러 백광호인데 정신 장애를 가지고 있는 그가 알고 보니 결정적 목격자였습니다. 두 번째 용의자는 피해자 사망 장소에서 엉뚱한 짓을 하고 있다 잡혔는데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습니다. 세 번째 용의자 박현규는 관객들이 가장 의심했을 것 같은데 두 용의자들과 분위기부터 달랐고 형사들의 강압적인 취조에도 냉정함을 유지했습니다. 미국에서 온 DNA 검사 결과가 달랐다고 했을 때 박두만 형사의 표정처럼 허무함을 감출 수 없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왠지 계속 의심이 가는 인물이 박현규였습니다. 원작 연극의 제목이 <날 보러 와요>인데 영화를 보고 나면 연극 제목이 마치 피해자들의 호소인 것 같아 슬프게 다가옵니다. 지금은 진범이 잡혔고 비록 공소시효 때문에 모든 죄를 처벌할 수 없어 답답하지만 여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죽는 날까지 갇혀있다고 합니다. 연쇄살인범을 잡기 위한 두 형사의 간절한 수사에 동참하고 싶은 분들에게 영화를 추천합니다.